미국 FOMC 기준금리 인하 결정 및 환율 1450원 돌파

이미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9일 오전 4시(한국시간)으로 미국 기준금리 인하를 발표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예상하신 것처럼 기준금리가 인하했지만 시장은 생각보다 더 충격을 받은 모습입니다. 이러한 결정이 향후 어떠한 영향들을 미칠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FOMC 기준금리 인하 & 속도 완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연준이 내년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말에 시장은 큰 충격을 받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 속도를 표시한 점도표는 이듬해 기준금리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연준 위원들이 이날 발표한 점도표에서 내년 말 기준금리가 3.9%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통상적으로 0.25% 포인트씩 금리를 내린다고 가정했을 때, 내년 금리 인하 횟수가 종전 4회에서 2회로 절반이 줄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FOMC 기준금리 인하 속도 완화 이유 금리 인하는 경기 둔화 신호가 나타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곤 합니다. 연준에서 신중하게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완화하는 것은 내년 트럼프 정부 출범을 앞두고 경제 정책과 관련한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전망에 따라 한국 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습니다. 국내외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했고 채권 금리도 급등하며 앞으로의 금융시장이 더욱 불안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미국 FOMC 기준금리 인하 결정 및 인하 속도에 대한 결정 및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금리 인하 속도가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내년 출범할 ...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에 대해 쉽게 이해하기

기존 화폐의 한계가 드러나고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면서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평소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면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개념을 쉽게 설명하여 이해를 도와드리겠습니다. 비트코인 개념 및 탄생 이유 비트코인은 나카모토 사토시(가명)라는 프로그래머가 기존 화폐의 한계를 느끼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화폐를 만들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로 만들어진 최초의 암호화폐이며, 정부, 중앙은행 또는 금융회사 등의 간섭 없이 작동하는 것이 궁극적이 목표입니다. 그럼 보안에 강하다고 하는 비트코인의 블록체인 기술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의 보안을 담당하는 블록체인의 기술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에 대해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모든 거래자의 거래 장부를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방식"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해킹을 대비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기존 화폐는 은행이 중간 관리자가 되어 중앙 서버에 장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은 큰 문제가 없었지만 누군가 해당 장부를 해킹하고 기록을 조작하면 어떻게 될지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이 갑자기 파산할 경우 거래자는 은행에 보관해둔 자산을 어떻게 해야 할지도 막막할 것입니다. 이러한 이슈를 블록체인 기술은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작동 원리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거래 내역을 수많은 서버에 동시 기록을 진행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은행은 장부가 하나라면, 비트코인은 장부가 수천수만 개라는 의미입니다. 해커가 장부를 조작하고자 해도 동시에 수천수만 개의 장부를 한 번에 해킹할 수 없기에 훨씬 안전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